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정보

2025년 7월부터 달라지는 제도 총정리! 청년금융·소상공인지원·복지혜택 꼭 확인하세요

by freesky(2) 2025. 7. 2.
반응형

2025년 7월부터 금융, 경제, 복지분야에서 달리지거나 새롭게 신설되는 내용이 있어 정리해봤습니다. 어떤분야의 어떤항목의 변화가 있는 궁금하지 않으세요? 청년이 관심있는 분야, 소상공인이 주목할만한 변화, 그 밖에 일반적으로 달라지는 분야 같이 확인해보시죠.

2025년 7월부터 달라지는 금융, 경제, 기타 분야 내용정리

 

목차
청년이라면 1. 청년내일저축계좌, 디딤씨앗통장 만기 수령금 일시납 가능
  2. 햇살론유스 금리가 인하되고 지원 확대
소상공인이라면 3. 공과금 지원
  4. 배달, 택배비 지원
  5. 최대 1,000만원한도 카드발급
기타 6. 헬스장, 수영장 이용료 소득공제
  7. 양육비 선지급제
  8. 예금자 보호한도 상향

청년이라면

1. 청년내일저축계좌·디딤씨앗통장 만기금 일시납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에 가능

  • 시행 시기: 2025년 7월부터
  • 주요 내용: 청년내일저축계좌·디딤씨앗통장의 만기 수령금을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에 최대 5,000만 원까지 일시납으로 납입할 수 있습니다 
  • 조건:
    • 만기 해지 후 3개월 이내,
    • 은행 창구 방문을 통한 대면 납입만 가능 
  • 혜택:
    •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은 최대 연 4.5% 금리, 소득공제이자소득 비과세 혜택 제공 
    • 기존 청년자산형성 상품 (희망적금, 도약계좌, 장병적금 등)과 연계 강화
청년주택드림 청약통장의 가입대상자, 우대이율, 소득공제, 가입방식 등 더욱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다면? 아래버튼을 클릭해서 꼭 확인하세요! 많은 혜택을 받을수 있는 내용이니 필 확인! 

 

2. 햇살론유스 금리 인하 & 공급채널 확대

  • 시행 시점: 2025년 6월 9일부터 신규 신청자 대상
  • 변경 내용:
    • 사회적 배려 대상 청년(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장애인, 한부모가정 등)은 기존 연 3.6% → **연 2.0%**로 1.6%p 인하 
    • 지원 형태는 이차보전 정책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 채널 및 규모 확대:
    • 기존 3개 은행 → 7개 은행으로 확대 예정
      (광주은행·토스·하나·제주 등 신규 참여) 
    • 공급 규모2,000→3,000억 원으로 1,000억 원 증액 
서민금융진흥원의 햇살론유스 가입대상자, 대출금리, 보증료율, 제출필요서류, 보증한도 및 보증기간 등 더욱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다면? 아래버튼을 클릭해서 꼭 확인하세요! 많은 혜택을 받을수 있는 내용이니 필 확인! 

 


소상공인이라면

3. 🔌 공과금 및 4대 보험료 지원 (“부담경감 크레딧”)

  • 시행 시기: 2025년 7월 14일부터
  • 대상: 연매출 3억 원 이하 소상공인 (1인 1사업체)
  • 지원 내용: 전기·가스·수도 등 공과금 및 4대 보험료 납부용으로 최대 50만 원 지원 
  • 신청 및 사용:
    • 온라인 신청 (‘부담경감크레딧.kr’)
    • 지정 카드사 연계 후 비용 결제 시 자동 차감 (별도 증빙 불필요)
중소벤처기업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등이 주관하는 소상공인 부당경감 크레딧을 통해 7.14일부터 신청이 가능합니다. 아래버튼을 클릭하면 부당경감 크레딧으로 이동하니 온라인으로 바로 신청해서 혜택받으세요.

 

 

부담경강크레딧


4. 🚚 배달·택배비 지원

  • 시행 시기: 2025년 2월경부터 시행 중, 4월부터 확인지급 확대
  • 대상: 연매출 1억 400만 원 미만 소상공인으로 배달 또는 택배비 실사용 내역이 있는 경우 
  • 지원 범위:
    • 배달비: 건당 2,000원, 월 최대 30만 원
    • 택배비: 건당 3,000원, 월 최대 50만 원 (사업자별 차이 가능) 
  • 신청 방법:
    • ‘소상공인배달택배비지원.kr’ 또는 ‘소상공인24’에서 온라인 접수
    • 실비 증빙 송장/세금계산서 제출 → 승인 후 계좌 입금 
 중소벤처기업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등이 주관하는 소상공인 배달 택배비 지원신청이 가능합니다. 아래버튼을 클릭하면 소상공인배달택배비지원.kr로 이동하니 온라인으로 바로 신청해서 혜택받으세요.

 


5. 💳 비즈플러스카드 (최대 1,000만 원 한도)

  • 시행 시기: 2025년 7월 14일 ~ 12월 31일 신청 접수
  • 대상:
    • 중·저신용 소상공인 (NICE 595~839점)
    • 최근 2개월 매출 ≥200만 원 또는 연매출 ≥1,200만 원 
  • 혜택:
    • 최대 1,000만 원 사업자 신용카드 발급
    • 연회비 및 보증료 면제
    • 최대 6개월 무이자 할부
    • 사용액의 3% 캐시백 (1년간, 최대 10만 원) 
  • 신청 절차:
    1. 지역신용보증재단 “보증드림” 앱에서 보증 신청
    2. 보증 승인 후, 기업은행 ‘IBK 카드’ 또는 ‘i‑One Bank’ 앱에서 카드 신청
    3. 최대 10영업일 내 카드 발급 및 배송 완료 

 


기타

6. 헬스장·수영장 이용료 소득공제

  • 시행일: 2025년 7월 1일부터 
  • 대상자: 총급여 7천만 원 이하 근로자
  • 공제 내용:
    • 체력단련장·수영장 이용료의 30% 소득공제, 연 최대 300만 원 한도 내 
    • PT·강습비 등 ‘강사 포함 프로그램’은 비용의 50%만 공제 대상
    • 카드 사용 내역 자동 계산, 따로 증빙 불필요

7. 양육비 선지급제 (한부모 가정 대상)

  • 시행일: 2025년 7월 1일부터 
  • 대상자: 양육비를 제때 받지 못하는 한부모 가정 중,
        - 양육비 채무자가 최근 3개월 이상 또는 3회 연속 미지급
        - 가구 소득이 중위소득 150% 이하
  • 지원 내용:
    • 국가가 자녀 1인당 월 20만 원 선지급
    • 자녀가 만 18세가 될 때까지 지급
    • 이후 양육비 채무자에게 회수 조치
아래의 양육비이행관리원이란 사이트에서 양육비 선지급 지원신청이 가능합니다. 아래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사이트로 이동해 신청이 가능하니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8. 예금자 보호한도 대폭 상향

  • 시행일: 2025년 9월 1일부터 
  • 변경 전/후: 기존 5,000만 원 → 1억 원으로 상향 (24년 만에 조정)
  • 보호 대상 확대:
    • 일반 예금
    • 퇴직연금, 연금저축, 사고보험금 등 포함 
  • 기대 효과: 금융회사 파산 시 이자 포함 원금 1억 원까지 보호되어 가계 자산 안정 및 금융 소비자 보호 강화
추가적으로 보면 함께 보면 좋은글! 아래링크를 클릭하세요!

2025.05.31 - [일상생활정보] - [2025년 7월 시행] 양육비 선지급제도, 한부모 가정에게 큰 힘이 됩니다

 

2025.06.17 - [일상생활정보] - 중소기업 퇴직연금기금 ‘푸른씨앗’, 3년 만에 가입자 10배 증가! 근로복지공단에서 알아보는 핵심정리!

2025.07.02 - [일상생활정보] - 2025년 하반기 달라지는 아동·부모 지원 정책 총정리

2025.06.27 - [일상생활정보] - 수도권 주담대 한도 ‘6억’ 제한! 내일부터 달라지는 대출 규제 총정리 (2025.6.28 시행)

 

 

 

 

 

반응형